고르디우스 매듭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그리스 신화 속 영웅인 알렉산더 대왕이 칼로 잘라버렸다는 전설속의 매듭이야기입니다.
이처럼 복잡하게 얽힌 문제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뜻이에요.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회사 업무 중 갑자기 생긴 일거리라던지, 과제 제출기한이라던지.. 그럴때마다 항상 머리아프죠.
고르디우스 매듭이란
고르디우스의 매듭(Gordian Knot)은 고대 그리스 시대 프리기아의 왕 고르디우스(Gordius)와 관련된 신화에서 나온 유명한 예시입니다. 이 매듭은 풀기 어려운 매우 복잡한 구조의 매듭으로 알려져 있다. 이 명대결 관련해서는 복잡한 문제를 상징하며, 경영학, 철학,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문제 해결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신화에 따르면, 프리기아의 왕 고르디우스는 신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소달구지와 함께 그들의 왕권을 바쳤다고 합니다. 그는 소달구지와 함께 그의 마차를 아주 복잡한 매듭으로 한 신전 기둥에 묶어놓았습니다. 이에 대해 '이 매듭을 푸는 자가 아시아의 왕이 될 것이다'라는 예언이 있었습니다.
기원전 333년, 마케도니아의 왕 알렉산더 대왕이 이 매듭을 푸는 것에 도전했습니다. 그는 복잡한 매듭을 간단하게 푸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결국 칼을 사용해 한 번에 매듭을 잘라버렸습니다. 이 사건은 복잡한 문제를 창의적이고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한 예시로 이후에도 주요 사건에 비유로 사용되었습니다.
과제 마감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아직 완성을 못했어요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면 일단 포기하세요. 그리고 다른 방법을 찾아보는겁니다. 저같은 경우엔 친구에게 부탁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해서 최대한 빨리 끝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봐요.
이렇게 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스트레스도 덜 받을 수 있죠. 물론 선택과 집중이 제일 중요하지만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처럼 차근차근 해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랍니다.
회사 업무중 급하게 처리해야되는 일이 생겼어요
저 같은 경우엔 상사분께 말씀드리고 양해를 구한 후 먼저 퇴근해서 급한일을 마무리한답니다. 아니면 친한 동료분들께 도움을 요청하기도 하구요.
혼자 끙끙 앓으면서 하는것보단 같이 일하는 사람들한테 도움을 청하면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일처리를 할 수 있어서 좋아요. 혹시라도 내가 맡은 일을 다 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크게 혼나지 않을 확률이 높구요.
모두 복잡한 일들이 생기면 당황하지 말고 천천히 풀어보세요. 의외로 답은 주위에서 간단하게 풀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